Linux server를 Visualbox를 통해 제작하고 Ubuntu ISO를 활용하여 구축하였습니다.
https://www.virtualbox.org/wiki/Downloads
https://ubuntu.com/download/server
다운로드한 ubuntu 파일 선택
15G
500M : (Mount : /boot)
2G :( Format : swap)
5G : (Mount : /home)
공백 Other/data
이대로 Done
설치 완료 후 Reboot Now
이제 설정한대로 login을 진행하면 됩니다.
yurisii@server:~$
로그인을 진행하면 위와 같이 나옵니다.
여기서 ~$는 일반유저 권한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뜻입니다.
일반유저 권한으로 프로그램 설치 / 시스템 디렉토리에 접근을 한다면 권한이 없기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나옵니다.
그에 따라 관리자 권한이 필요할 때가 있기 때문에
Linux에서는 root로나옵니다
root@server:~#
으로 나오겠네요.
root 권한을 실행하는 코드
$ sudo reboot
$ sudo halt
$sudo su - root
$sudo su -
$sudo su
위 코드는 모두 root(관리자권한)을 부여받는 코드 입니다.
(위 아래 다른 역할)
관리자 권한으로 이것저것 만지다보면 망가지기 쉬우니 필요한 작업만 마치고 exit해주는게 좋습니다.
/(root) 폴더로 이동하여 file을 확인하면 이처럼 많은 directory가 존재함을 알 수 있습니다.
mnt, media는 장치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directory
usr는 사용할 프로그램 설치
etc는 usr에서 사용할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설정
var는 usr에서 사용할 프로그램이 사용하면서 생기는 값 저장
bin는 모든 유저가 사용하는 실행파일
sbin는 admin 유저가 사용하는 실행파일
tmp는 임시로 data를 둘 때
'( * )Engineering > 🐧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Linux 환경에서 Verilog. (0) | 2024.07.13 |
---|---|
[Linux] Ubuntu 한글 설정 / vim 한글 설정 (0) | 2024.07.13 |
[Linux] 리눅스 명령어 (0) | 2024.05.18 |